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집을 살 때 꼭 알아야 하는 세금, 바로 취득세입니다.
    그런데 단순히 1%가 아니라 조건에 따라 최대 12%까지 뛸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 취득세율 계산법부터 절세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취득세란?


    취득세는 부동산, 차량, 항공기 등을 취득할 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특히 주택 취득 시, 면적이나 주택 수, 취득가액, 지역(조정대상지역 여부), 생애최초 여부 등에 따라 세율이 크게 달라집니다.
    주택 외에도 토지, 오피스텔, 상가 등에 각각 다른 세율이 적용됩니다.



    주택 취득세율 한눈에 보기


    주택의 경우 보유 주택 수와 지역, 면적 등에 따라 취득세율이 달라집니다. 다음은 기본 요약입니다.


    구분 취득가액 취득세율 농어촌특별세 지방교육세
    1주택자 (6억 이하) 6억 이하 1% 0.2% 0.1%
    1주택자 (6~9억) 6억 초과 ~ 9억 이하 누진세율 취득세의 10% 0.1%
    1주택자 (9억 초과) 9억 초과 3% 0.3% 0.3%
    2주택자 (조정대상지역) 무관 8% 0.6% 0.4%
    3주택자 이상 (조정지역) 무관 12% 1% 0.4%


    주택 외 취득세율


    토지, 상가, 오피스텔 등 주택 외 부동산의 취득세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택보다 높은 편이며, 법인 소유의 경우 중과될 수 있습니다.


    취득유형 취득세 농어촌특별세 지방교육세
    일반 매매 (토지, 건물) 4% 0.2% 0.4%
    원시취득 (신축, 상속) 2.8% 0.2% 0.16%
    증여 3.5% 0.2% 0.3%
    농지 (신규) 3% 0.2% 0.2%
    농지 (2년 자경) 1.5% 0.1% 0%
    농지 상속 2.3% 0.2% 0.06%


    취득세 절감 방법


    세금은 줄일 수 있다면 줄이는 것이 가장 좋은 전략입니다.
    취득세를 절감할 수 있는 대표적인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애최초 주택 구입: 일정 조건 충족 시 취득세 감면
    • 임대사업자 등록: 등록 조건 충족 시 감면 또는 면제
    • 2년 이상 자경 농지: 50% 감면
    • 1세대 1주택 유지: 불필요한 취득 방지로 중과세 피하기


    Q&A



    Q. 취득세는 언제까지 내야 하나요?
    A. 주택 취득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Q. 생애최초 주택 감면 조건은?
    A. 무주택자 + 연 소득 요건 + 1억~4억원 이하 주택일 경우 가능합니다.


    Q. 공동명의면 취득세가 줄어드나요?
    A. 아니요. 총액 기준으로 동일하게 부과됩니다. 다만 명의별 증여세 판단은 별도입니다.


    Q. 3주택자 취득세가 12%라는 게 진짜인가요?
    A. 네. 조정대상지역의 경우 3주택 이상 보유자는 12%까지 부과됩니다.


    Q. 세무사 없이 계산하려면?
    A. ‘부동산계산기.com’의 취득세 계산기를 활용하시면 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취득세, 모르고 내면 손해!


    취득세는 단순한 비율이 아니라 다양한 조건과 변수에 따라 달라지는 복합 세금입니다.
    조정대상지역, 다주택 여부, 주택 면적, 주택 수 등 변수에 따라 최대 12%까지 늘어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정확한 계산이 필수입니다.
    지금 바로 '부동산계산기.com'에서 조건별 세율을 확인해보세요.





    반응형